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여성의날
- 자원활동
- 권해효
- 38여성대회
- 3.8여성의날
- 점핑스토리
- 여연
- 플래쉬몹
- 점프사진
- 허스토리텔링
- 점핑스토리전
- 디딤돌
- 여성대회
- 3.8
- 올해의여성운동상
- 38여성의날
- 3.8세계여성의날
- 한국여성대회
- 한국여성단체연합
- 38세계여성의날
- 김미화
- 세계여성의날
- 성평등디딤돌걸림돌
- 여성단체연합
- 댄싱퀸
- 성평등
- 자원활동가
- 여성연합
- 여성운동상
- 권미혁
Archives
- Today
- Total
3.8 세계여성의날 기념 한국여성대회
[성평등, 우리가 걸어온 길 캘리그라피展] 제2회 한국여성대회 본문
3.8 세계여성의 날 기념 특별전시
[성평등, 우리가 걸어온 길 캘리그라피展]
1986년 제2회 한국여성대회
"민족·민주·민중과 함께하는 여성운동"
- 생존권 쟁취하여 여성해방 이룩하자!
by. 유별
대한민국에서 여성의 날은 일제 강점기에 탄압받아 없어졌다가
1985년 다시 이어지게 되었다.
1980년대는 널리 알려진 대로 민주화운동이 전국 곳곳 여러 계층에서 일어나던 시대로
여성의 날 또한 그런 의미로 다시 계승된 것이었을 것이다.
1985년과 1986년 슬로건을 비교하였을 때
‘민족·민주·민중과 함께하는 여성운동’은 동일하지만
1986년에는 ‘생존권 쟁취하여 여성해방 이룩하자’라는 문장 추가되었다.
1986년은 우리나라에서 여성의 정년이 남성과 같은 55세로 인정이 된 해로
그 전에는 혼인 후 일을 그만둔다는 이유로 정년이 25세로 여겨졌다고 한다.
생존권 쟁취라는 구절은 이러한 시대적 움직임을 미루어보아
나올 수 있었을 것이었을 것이다.
이를 토대로 작품에는 앞에 내용인 ‘민족·민주·민중과 함께하는 여성운동’이라는 구절을
최대한 간략하게 표현하고 뒷 문단을 크게 강조하는 동시에
불안정한 시대적 상황을 중묵과 담묵의 농담의 차이를 내어 표현하였으며
그중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여성해방은 농묵으로 강조를 하였다.
Comments